

하늘호수
내용
어느 산골 마을에 젊은 내외가 어머니를 모시고 살았습니다. 착하고 부지런한 두 사람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열심히 일을 했지만 가진 땅도 없고 재산도 없어서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해, 심한 흉년이 들어 세 식구의 끼니를 이어가기도 힘들게 되었습니다.
"젊은 우리야 풀뿌리에 나무껍질이라도 견딜 수 있지만, 어머님께 어떻게 그리 해드릴 수 있겠소. 아랫마을 최부자 집에서 젊고 힘센 머슴을 구한다고 하니 내가 가야겠소."
이렇게 해서 금슬좋은 두 내외는 헤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오두막집에는 시어머니와 며느리만 남게 되었습니다. 며느리는 남편이 머슴살이로 가면서 최부자 집에서 미리 얻어온 곡식을 아껴 시어머니에게는 죽을 끓여드리고 자기는 부엌에 숨어 풀뿌리와 나무껍질을 삶아 끓여 먹어가며 끼니를 때웠습니다.
산속을 다니며 먹을 것이 될 만한 것들을 구해 나르고, 빨래며 집안청소, 텃밭을 일궈 씨앗을 뿌리고 가꾸면서 정성을 다해 시어머니를 모셨습니다. 그러나 시어머니는 그런 며느리에게 온갖 트집을 잡아가며 구박을 일삼았습니다.
시어미한테 죽을 끓여주고 며느리 혼자 부엌에 숨어서 밥을 해먹는다느니, 산속에 가서 새서방을 만나고 다닌다느니, 시어머니의 구박은 날이 갈수록 더 심해졌습니다.
시아버지의 제삿날이었습니다. 머슴살이 하는 남편은 주인이 보내주지 않아 집에 오지 못하고 시어머니와 며느리 단 둘이서 제사를 모시게 되었습니다.
배고프다고 재촉을 하는 시어머니에게 죽 한 그릇을 쑤어 상에 올려 바치고 며느리는 제사를 모시기 위해 꼭꼭 간직해두었던 쌀 한 줌으로 제사밥을 짓다가 밥이 다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솥뚜껑을 열고 밥알 몇알을 입에 넣었습니다.
자신에게 죽을 쑤어주고 부엌에서 며느리 혼자 밥을 해먹는다고 의심을 하던 시어머니는 솥뚜껑 여는 소리가 나자 문구멍을 뚫고 부엌을 훔쳐보다가 며느리가 밥알을 입에 넣는 것을 보자 쫓아나왔습니다.
"너 이 년, 시어미한테 죽 쒀주고 혼자 숨어 밥해 쳐먹는 것도 모자라서 조상님께 바칠 젯밥에 먼저 입을 대?"
시어머니는 부엌 바닥에 있던 부지깽이를 주워들고 며느리에게 모진 매질을 해댔습니다. 그동안 제대로 먹지도 못하면서 온갖 일에 지쳐 쇠약해져 있던 며느리는 매를 이기지 못하고 쓰러져 그만 숨을 거두고 말았습니다. 며느리가 뜸이 들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입에 넣었던 밥알 두 알이 입술에 묻어 있었습니다.
며느리가 묻힌 무덤에서 이듬해 며느리의 입술빛을 닮은 꽃이 피어났습니다. 그 꽃에는 흰 밥풀 두 알이 묻어 있었습니다. 며느리의 슬픈 이야기를 알고 있던 사람들은 그 꽃을 '며느리의 한이 서려 피어난 꽃'이라고 해서 며느리밥풀꽃이라고 불렀습니다.
월출산에 갔다가 소나무 사이에 피어 있는 며느리밥풀꽃을 보았습니다.
꽃잎이 입술을 닮았고 아랫입술 가운데 조각에 2개의 흰색 무늬가 있어서 며느리밥풀꽃이라니 이름만으로도 정겹습니다.
지금이야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서 그런 일이 없겠지만 몇 십 년 전만 해도 흰쌀밥은 귀했습니다.
그래서 보통 아이들은 '쌀밥에 고깃국 먹는 것'이 소원이기도 했습니다.
요즘은 물질적으로 너무 풍요롭습니다. 어디가나 먹을거리가 많고 자잘한 것은 하찮게 여깁니다.
우리 아이들을 이렇게 키워도 되는지 고개를 갸우뚱거려 보기도 합니다.
물질적 풍요 속에서 별 어려움 없이 자란 아이들이 세상을 자기 힘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더 강하게 키워야 되겠습니다.
2003-08-20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