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서브텍스트이미지 서브슬라이드이미지

하늘새

제목

프랑스 자녀 행복교육법 “좌절을 가르쳐라”

작성자
새하늘
작성일
2021.06.01
첨부파일0
추천수
0
조회수
235
내용

프랑스인들은 생후 몇 개월 된 아이가 밤에 일어나 칭얼대도 곧바로 달려가 달래거나 젖을 물리지 않았다. 일단 관찰하면서 때로는 5~10분까지 기다린다. 잠깐 멈추기야말로 파멜라가 프랑스식 아이 기르기 뒤의 보이지 않는 문명의 힘이라고 했던 그 무엇의 하나였다. 그냥 두면 다시 잠들 수 있는데도, 그때마다 이를 배고픔이나 문제, 스트레스 신호로 해석하고 곧바로 달려가 달래주면 아이는 거기에 적응해 버린다. 다음부터는 계속 그래야 다시 잠이 들도록 길들여지는 것이다.

식사도 정해진 시간에만 한다. 생후 4개월쯤 되면 식사(수유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일정이 통상 오전 8, 정오, 오후 4, 오후 8시 등 4차례로 고정된다. 첫 이유식 때부터 으깬 콩류, 시금치, 당근, 호박, 부추 등 채소와 치즈, 신선한 과일들을 준다. 단것과 고기를 좋아하고 군것질거리를 달고 다니는 미국 아이들과는 전혀 다르다. 음식이 나올 때까지 보채거나 칭얼대지 않는 것도 이런 훈련 덕이다. 아이들이 공공장소에서 그럴 때 프랑스 부모들은 엄한 표정으로 단호하게 말한다. “아탕!”(attend, 기다려)

!”(non, 안 돼)이 아니라 아탕! 또는 사주!”(sage, 현명하게 굴어). 그렇게 해서 아이들에게 좌절을 가르쳐야 한다고 말한다. “아이를 행복하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좌절감을 주는 것이다. 아이를 놀지 못하게 하거나 안아주지 말라는 뜻이 아니다. 아이의 취향, 리듬, 개성은 당연히 존중해야 한다. 다만 아이는 아주 어릴 때부터 이 세상은 혼자 살아가는 곳이 아니며 모두를 위한 시간과 공간이 있다는 걸 배워야 한다.” 해서는 안 되는 것도 있는 것이다. 이게 프랑스식 육아의 핵심개념인 카드르’(cadre, ). “카드르는 매우 단호한 제한이 존재하고 부모가 그걸 엄격하게 강제한다는 뜻이다. 대신 아이들은 그 틀 안에서 무한한 자유를 누린다.”

프랑스에선 부모가 학교수업에 참견하지 않고, 아이들 생일파티에도 가지 않는다. 방학 때 무수히 열리는 1주일 안팎의 캠프에도 아이들만 보내지 부모가 따라가는 법이 없다. 아이들은 실부플레(해주세요), 메르시(고맙습니다), 봉주르(안녕하세요), 오르부아르(안녕히 가세요), 4가지 마법의 말을 어릴 때부터 철저히 가르친다. 봉주르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다.

위 기사는 프랑스 자녀 행복교육법 좌절을 가르쳐라내용 중 일부입니다.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